호별보기

줌 인
코로나에도 책 읽기는 계속(ON) 된다!

2020-10-28

정리 편집실

 

코로나에도

책 읽기는 계속(ON) 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비대면 독서 프로그램이 각광을 받고 있다.
혼자 있지만 온(On, 연결)택트로 함께 읽고 나눌 수 있는 시대,

2020년 하남시 도서관을 중심으로 펼쳐진 다양한 독서 문화의 향연을 따라가보자.

 

 

독서문화 프로그램
코로나19로 도서관 방문이 제한된 상황이지만 하남시립도서관은 책과 사람의 만남이

온라인에서도 이뤄질 수 있도록 만남의 장을 마련했다.
하남시립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연령별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 대상 <철학하는 아이들>,

일반 대상 <나를 찾는 삶의 인문학>, 가족 대상 <우리 동네 Maker – 그림책 in 오토마타>,

장애인 대상 <그림책 세상 톡톡 (Talk)>, 실버 대상 <행복마실 어르신 인지 활동 책 놀이 강사 양성 교육>이 있다.

하남시민들의 삶을 담는 자서전을 제작하는 프로그램 <기억, 기록 그리고 치유 에세이 자서전 제작>,

버려지는 헌 책을 업사이클링하여 재탄생시키는 정크아트 <업사이클링 팝업북>,

초등학생들이 여러 가지 형태의 책을 직접 제작해보는 <뚝딱 뚝딱 북아트 공작소>,

공공도서관 진로 독서 프로그램 <문학관 탐방> 등 다양한 독서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생활 속에서 책이 주는 지적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으며 일상에서 책과 친해질 수 있다.

 

 

인문학 특성화 사업 프로그램
하남시미사도서관은 ‘2020년 공공도서관 ‘독서보조기기 국고지원사업’을 시작으로

<국립장애인도서관 독서 문화프로그램>, <인문독서아카데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평생 교실> 등

12개 공모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올해 국·도비로 약 6000만 원을 확보하여 다양한 독서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인문독서아카데미〉는 인문정신문화 고양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주관 사업으로 <미사 소사이어티: 키워드로 말하는 한국사회>를 주제로

지난 7월 16일부터 매주 목요일 저녁 7시에 위험, 불안, 종교 과잉, 불행, 혐오, 단속 사회를

키워드로 하여 약 200여 명의 지역 주민이 꾸준히 참여한 가운데 운영하고 있다.

하남시나룰도서관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하는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공모 사업에도 4년 연속 선정되어 그간 ‘아빠와 함께하는 길 위의 인문학’이란 키워드로 매년 다른 주제를

가지고 추진해왔다.

올해는 ‘서로 살리는 환경 이야기’란 주제로 코로나19로 인해 빼앗긴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고,

나와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 필요한 면역 방법을 찾아 실천해 보는 등 알찬 내용으로 강연과 토론,

탐방을 준비하여 성황리에 마쳤다.

 

 

다문화 사업 프로그램
하남시덕풍도서관은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 도서관 다문화 서비스 지원 사업’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외국인 주민 및 다문화 가족의 지역 사회 문화적 적응과 정체성 확립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도서관 다문화 프로그램 <시간을 걷는 역사이야기>를 운영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모자이크 지역아동센터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이민자 부모와 자녀간의

정서적 교감을 위한 독서 프로그램, 학령기 아동 대상의 다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만화 특성화 프로그램
만화 자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스토리텔링 및 캐릭터 기획·연출 제작을 학습하며,

더 나아가 한편의 그림책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다각적인 독서 문화를 제공한다는 취지의 프로그램이다.

웹툰 창작 및 웹툰 작가 체험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진로를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이커 스페이스 프로그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시민의 창의력 향상 및 메이커 문화 확산을 위해

하남시미사도서관내에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성하였다.

공간에 각종 디지털 장비 등을 구축하여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4차 산업혁명 놀이터’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지역 내 교육기관 및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 기관과 연계하여 메이커 문화를 활성화하고 직접

품을 만들어봄으로써 주민들의 여가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2020년 11월호
  • 기사수 1489
  • 조회수 6389
2020-10-23
2020년 11월호 썸네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담당자 정보

  • 정보관리 공보담당관   브랜드마케팅팀
  • 전화번호 031-790-6066
  • 최종수정일 2024.06.10.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