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 하머니 소개
하머니 카드란?
하남시가 발행하여 하남시에서만 사용가능한 지역화폐로,
지역 내 자금순환과 유통을 증가시켜 소상공인의 매출액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지역 내 자금순환과 유통을 증가시켜 소상공인의 매출액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하머니카드가 왜 필요해요?
- 소상공인의 매출액 증대와 지역내 소비를 촉진합니다.
- 지역내 자금순환과 유통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하머니카드를 사용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소비자가 받는 혜택
- 사용자 충전(구매) 시 6~10% 할인
- 연말정산 소득공제 30% ☞ 앱 또는 고객센터 ☎1899-7997 신청
- 카드 연회비 무료
가맹점이 받는 혜택
- 가맹비 없음
- 새로운 수요층 확보로 시민들의 방문이 증가하여 매출이 증가합니다.
- 정책수당(청년배당, 산후조리비) 등이 하머니로 지급되므로 관내 소비가 활성화 됩니다.
강조기존 IC카드(신용카드, 체크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운영중이면 현재와 동일하게 카드결제 받는 것처럼 하시면 됩니다.
- 하머니 카드는 일반 하나카드 매출액과 통합 정산됩니다.
- 하머니 카드의 개별 매출확인은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포탈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https://gg.merchant-portal.co.kr)
하머니카드를 어디서 구매해요?
- 스마트폰 앱이나 가까운 농협, MG하남새마을금고, 신협, 광주지구 축산농협, 중부농협, 통영수협에서 현금 구매하시면 됩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 하남시 내 음식점, 카페, 편의점, 동네슈퍼, 전통시장, 병원, 약국, 학원, 주유소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
제한되는 곳
연 매출 10억원 초과 사업장, 백화점, 복합쇼핑몰, 대기업·대규모점포(입점 사업장 포함), 유흥·사행업소, 귀금속 등
- 하남시 지역화폐 가맹점 조회 : https://www.gmoney.or.kr/base/main/view
하머니카드 구매한도는?
- 개인할인 구매한도월 인센티브 한도 탄력적 운영(하머니 알림판 및 경기지역화폐 앱 공지사항 참고)
- 법인 · 단체 구매한도제한 없으나, 할인 혜택이 없습니다.
강조한도상향 신청 시(앱 또는 콜센터 신청) 최대 150만원까지 잔액 보유 가능
하머니 신청, 사용방법은?
오프라인(직접 구매)
직접방문(신분증) → 관내 32개 영업점(카드신청 및 현금 지불 후 충전) → 사용
협약 금융기관 현황
기관명 | 지점 | 주소 |
---|---|---|
NH농협은행 (4개 지점) |
시지부 | 하남대로 776번길 76 |
하남미사역지점 | 미사강변남로 103 | |
신장지점 | 신평로 84 | |
하남시청 출장소 | 대청로 10 | |
하남농업협동조합 (10개 지점) |
본점 | 덕풍서로 84(덕풍동) |
미사지점 | 미사강변대로 226번길21 | |
덕풍지점 | 신장로198(덕풍동) | |
역말지점 | 역말로34(덕풍동) | |
신장동지점 | 대청로59번길 8 | |
중앙지점 | 신장로102 | |
미사강변지점 | 미사강변대로64 | |
스타필드지점 | 미사대로750 | |
신풍지점 | 검단로111 | |
아리수지점 | 미사대로 380 | |
서부농업협동조합 (4개 지점) |
본점 | 서하남로 513 |
감북지점 | 서하남로 124 | |
초이지점 | 초이로162 | |
위례지점 | 학암동 514 | |
MG하남새마을금고 (5개 지점) |
본점 | 조정대로42-2 |
신장지점 | 신평로55 | |
덕풍지점 | 신장로170 | |
미시지점 | 미사강변대로 206 | |
위례지점 | 위례대로 190 | |
동부신용협동조합 (3개 지점) |
본점 | 신장로126 |
창우지점 | 대청로 91 | |
덕풍지점 | 수리북로 34 | |
선린신용협동조합 | 본점 | 하남대로 747 114호 |
가나안신용협동조합 | 본점 | 하남대로934번길 3 |
광주지구축산농협 (2개 지점) |
하남지점 | 신장1로 1 |
풍산지점 | 덕풍동로 113 | |
중부농협 | 산곡지점 | 상산곡동 161-33 |
통영수협 | 미사지점 | 미사강변중앙로 226 |
온라인(스마트폰 앱 설치 방법)
회원등록 및 카드신청
- 핸드폰 "App Store" 또는 "Google Play"에서 경기지역화폐 검색 및 설치
- 회원가입 시작하기
- 약관동의 및 휴대폰 본인인증 → 아이디입력(이메일주소) → 비밀번호 설정
- 카드신청하기
- 무료카드신청하기 터치 → 하남시 터치 → 하머니 선택 → 배송지 주소 입력 → 은행계좌연결은 "나중에 하기" 터치 후 종료
강조 카드 수령 후 계좌연결
- 무료카드신청하기 터치 → 하남시 터치 → 하머니 선택 → 배송지 주소 입력 → 은행계좌연결은 "나중에 하기" 터치 후 종료
일주일 내 카드 수령 후 등록 방법
- 카드우편수령
- 경기지역화폐 앱 로그인하여 실물카드 등록 완료 (카드 뒷면 바코드 스캔 또는 카드정보 입력)
- 충전하기 터치
- 내계좌 연결하기 터치 → 구매충전 → 사용
하머니 신청 및 사용 흐름도

하머니란? 하남시가 발행하고 하남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입니다.
발행주체 : 하남시 / 발행종류 : 카드형(충전식) / 발급대상 : 만 14세 이상 누구나 / 구매방법 : 농협, MG하남새마을금고, 동부/선린/가나안 신협 방문 및 온라인 경기지역화폐 앱 설치 / 연회비 : 없음 / 문의처 : 1899-7997 (일자리경제과 지역경제팀 : 790-6197 / 건강증진과(산후조리비) 790-5040 / 평생교육과(청년기본소득) 790-5405) /
하머니 카드 신청 등록방법: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경기지역화폐'앱을 다운 받으세요.
01. 온라인 구매, 충전 : 앱 설치 및 회원가입(이메일 필수)→카드신청→카드 수령 및 등록→계좌연결→금액충전→결제 및 이용내역확인
02. 오프라인 구매, 충전 : 오프라인 판매처 방문(신분증 지참)→신청서 작성→현금지불→충전된 카드 수령→매장에서 결제→이용내역확인(앱 가입후)
03. 정책발행 : 산후조리비 신청(행정복지센터) 또는 청년기본소득 신청("잡아봐, 경기도 일자리 플랫폼")→대상요건 심사 및 확정→카드 수령→카드등록(앱가입)→매장에서 결제→이용내역 확인
STEP1. 카드 충전 : 은행계좌를 연결하고 원하시는 금액을 충전하세요. 충전(할인형 인센티브) : 카드 등록 시점 기준 지원 할인율이 적용됩니다.
예) 10만원 충전 시 (10%할인 기준) - 본인계좌 9만원 이체, 인센티브 1만원 지금 = 총 잔액 100,000원
STEP2. 카드 결제 : 본인이 충전한 금액과 지급 받은 인센티브는 함께 결제됩니다. *인센티브 차감 비율은 매달 변동될 수 있습니다.(6% 또는 10%)
예) 90,000원 결제(본인 충전잔액), 10,000원 결제(인센티브 잔액) = 100,000원 결제 (총 결제액)
이미지 크게보기
일반발행 문의처
- 일자리경제과031-790-6197
- 경기지역화폐 콜센터1899-7997
정책발행 문의처
- 청년기본소득일자리경제과 031-790-6366
- 산후조리비건강증진과 031-790-5568
- 청소년 교통비 지원 교통정책과 031-790-5020
가맹점 확인은?
-
사용제한된 업체외에 IC카드(신용카드, 체크카드) 단말기 설치업체에서는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강조사용제한 : 백화점, 대규모 점포, 유흥업소, 사행성업소
-
가맹점 스티커는 각동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되어 있으니 방문 수령 후 부착하시면 됩니다.
강조사용가능업체 목록은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찾기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https://search.konacard.co.kr/payable-merch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