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관리사업

결핵은 결핵환자가 기침을 할 때 배출되는 두께0.2~0.5㎛,길이1~4㎛의 막대기 모양의 결핵균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호흡 중에 다른 사람의 인체 내부로 흡입되어 감염, 발병되는 전염성 질환입니다.
결핵은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약 85%가 폐에서 생기고(폐결핵) 15%가 림프절, 척추 등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합니다(폐외결핵). 결핵의 감염성은 폐결핵에서만 있습니다.
결핵은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약 85%가 폐에서 생기고(폐결핵) 15%가 림프절, 척추 등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합니다(폐외결핵). 결핵의 감염성은 폐결핵에서만 있습니다.
결핵의 증상
결핵을 의심해야 할 증상으로는 2주 이상 지속되는 잦은 기침, 가래, 객혈, 무력감과 미열, 호흡곤란, 가슴통증, 수면 시 식은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시 즉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으로 방문하여 흉부엑스레이 검사, 가래검사 등의 결핵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결핵예방과 치료, 이렇게
오늘날 결핵은 치료만 제대로 하면 거의 100%완치가 가능한 질병입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결핵치료의 원칙은 아래의 세가지 원칙입니다.
결핵치료의 원칙
- 첫째, 결핵치료약은 반드시 결핵전문의에게 처방 받는다.
- 둘째, 정해진 분량의 약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 셋째, 진단에 따라 6개월에서 18개월 이상 임의중단 없이 꾸준하게 치료한다
결핵예방
- 결핵을 예방하려면 출생 후 가능한 한 결핵예방접종(BCG)을 해야합니다.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결핵환자 접촉자 검진
- 검진대상: 결핵환자 접촉자(보건소 개별연락)
- 검진항목: 흉부X선검사, 잠복결핵감염검사(IGRA)
- 검진비용: 무료
결핵 이동검진
- 검진대상: 노인·취약집단시설생활자·노숙인 등
- 검진비용: 무료
- 검진항목: 흉부X선검사,유소견 시 객담검사
- 검진방법: 대한결핵협회 연계 이동검진
집단시설 역학조사
- 조사대상: 호흡기결핵환자가 발생한 관내 집단시설
- 조사방법: 지표환자 조사 → 접촉자조사(결핵전문역학조사반이 조사범위 결정) → 접촉 정도에 따른 결핵 검사(흉부X선검사,잠복결핵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