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별보기
명절, 과식·폭식·야식으로 인한
소화기 질환에
주의하세요!
명절에는 평소보다 식사량이 늘어나고 늦은 시각까지 음주를 즐기는 일이 많아 자칫하면
소화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가오는 추석, 소화기 질환을 예방하려면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할지 알아본다.
정리 편집실


소화기 질환의 종류
소화 불량, 급체, 복통, 설사, 변비, 위경련, 역류성 식도염 등
기름진 명절 음식 과식 시,
소화기 질환 발생 위험
명절에는 음식의 종류가 다양해 한 끼에 많은 양의 음식을 먹거나 불규칙하게 자주 먹어 과식과
폭식으로 이어지곤 한다. 음식을 과하게 섭취하면 위장의 소화 능력이 떨어지고 소화 시간이 길어 진다.
이로 인해 복부 팽만감, 더부룩한 느낌, 체한느낌이 들며, 심한 경우 소화 불량, 급체, 위식도 역류 등이
발생한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의 경우 배탈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소화기 질환을 주로 일으키는 음식은 고지방 음식, 매운 음식, 기름에 튀기거나 구운 음식, 탄산음료 등
자극적인 음식, 유제품, 밀가루 음식 등이 있다.
명절에 주로 먹는 전, 잡채 등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소화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소화기 질환
예방하려면…?
명절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소화기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식을 피해야 한다.
가급적 평소 식사량을 고려해 먹고, 기름지거나 열량이 높은 음식과 간식 섭취를 줄이며 나물이나
채소 위주로 식사한다.
명절에는 오랜만에 만난 친척이나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며 술을 마시기도 한다.
이때 음주의 빈도와 음주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지나친 음주가 열량 섭취를 증가시키고, 위산 과다, 급성 위염, 역류성 식도염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차가 있긴 하나 1회 섭취량이 1~2잔이 넘지 않도록 하고 술을 마실 때는 물을 많이 마시고
빈속에 마시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이전글 명절 음식 위생 관리법
- 다음글 건강 하남
- 기사수 1536
- 조회수 1706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