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별보기

건강 음식
명절 음식 위생 관리법

2023-08-22

안전하고 건강한 추석을 위해

명절 음식 위생 관리법

 

명절에는 다양한 식재료로 많은 음식을 차리는 만큼 위생 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재료 구매 및 손질 방법, 또는 보관법에 따라 오염의 위험이 있고, 

이는 식중독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하고 안전한 추석을 위해 

알아둬야 할 위생 관리법을 소개한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냉장이 필요 없는 식품(밀가루, 식용유 등) →

과일·채소 → 냉장이 필요한 가공식품(햄·어묵 등)

→ 육류 → 어패류 → 냉동 식품

 

• 수취 시 배송 상태 확인. 만일 냉기가 없는 경우 가급적 섭취하지 말 것

• 내용물의 이상 여부(냄새, 조리 상태 등) 확인 후 이상이 없다면 즉시

조리 또는 냉장·냉동 보관(냉장 온도 5℃ 이하, 냉동 온도 -18℃)

 

 

식재료 준비 시 알아둘 점

 

• 생고기와 달걀은 가열·조리 없이 먹는 채소와 직접 닿지 않도록 보관

• 육류·어패류와 장기간 보존하는 식품은 냉동고 안쪽 깊숙이, 

냉장실 문 쪽은 온도 변화가 크므로 금방 먹을 식품을 보관

• 냉동 육류, 생선 등의 해동 시 냉장 해동 또는 전자레인지 해동

(냉동-해동 되풀이, 온수·상온 해동, 물에 담군 채 오랜 시간 방치 X)

• 가금류, 수산물, 육류 등 세척 및 칼·도마 이용시 채소·과일과 철저히 분리(교차 오염 방지)

 

 

조리·보관·섭취 시 주의할 점

 

• 조리 전인 계란·생닭을 만진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씻기(교차 오염 방지)

• 토란, 고사리, 콩류 등에는 유해 성분 등이 일부 포함되어 있어 재료 준비 시 주의

• 가열 조리 시, 충분히 익히기(육류 중심 온도75℃ 이상, 1분 이상)

• 조리 중 기름 제거 또는 생선, 채소의 수분 제거시 키친타월 사용(종이제 X)

• 많은 양을 조리하는 경우 빠르게 식혀서 덮개를 덮고 냉장고에 보관

• 조리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실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

(보관된 음식은 재가열 후 섭취)

 

 

2023년 9월호
  • 기사수 1536
  • 조회수 1706
2023-08-22
2023년 9월호 썸네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담당자 정보

  • 정보관리 공보담당관   브랜드마케팅팀
  • 전화번호 031-790-6066
  • 최종수정일 2024.06.10.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